반응형 [C++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Day 5: 네트워크 데이터 직렬화 네트워크 데이터 직렬화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를 직렬화(Serialization)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이를 역직렬화(Deserialization)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해야 합니다. 직렬화는 데이터를 일정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게 합니다. 직렬화의 주요 개념직렬화와 역직렬화직렬화(Serialization): 객체나 데이터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하거나 파일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역직렬화(Deserialization): 바이트 스트림을 원래의 객체나 데이터로 복원하는 과정입니다.직렬화 포맷JSON: 가볍고 읽기 쉬운 텍스트 기반의 데이터 교환 형식입니다. 대부분의 언어에서 지원되며, 웹 애플.. 2024. 8. 1. [C++로 배우는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Day 5: 해시 테이블 (Hash Table) 해시 테이블 (Hash Table)해시 테이블은 키(Key)와 값(Value) 쌍을 저장하는 자료구조로, 평균적으로 O(1) 시간 복잡도로 데이터를 검색, 삽입, 삭제할 수 있습니다. 해시 테이블은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키를 해시 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인덱스로 사용하여 값을 저장합니다.해시 테이블의 주요 연산:삽입 (Insert): 키와 값을 해시 테이블에 삽입합니다.검색 (Search): 키를 사용하여 해시 테이블에서 값을 검색합니다.삭제 (Delete): 키를 사용하여 해시 테이블에서 값을 삭제합니다.해시 함수 (Hash Function)해시 함수는 임의의 크기를 가진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의 해시 값으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해시 함수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 합니다:결정적 (Determinis.. 2024. 8. 1. [C++로 배우는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심화] Day 5: 균형 이진 탐색 트리 (AVL 트리, Red-Black 트리) 균형 이진 탐색 트리 (AVL 트리)AVL 트리는 자가 균형 이진 탐색 트리로, 각 노드의 왼쪽 서브트리와 오른쪽 서브트리의 높이 차이가 1 이하가 되도록 유지합니다. 이는 트리의 균형을 유지하여 탐색, 삽입, 삭제 연산의 시간 복잡도가 (O(\log n))이 되도록 합니다.AVL 트리의 주요 특징균형 조건: 각 노드의 왼쪽 서브트리와 오른쪽 서브트리의 높이 차이가 1 이하가 되도록 유지합니다.회전 연산: 삽입 및 삭제 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회전 연산을 사용합니다.AVL 트리의 기본 연산삽입 (Insert): 새로운 노드를 삽입한 후 균형을 유지합니다.삭제 (Delete): 특정 키를 가진 노드를 삭제한 후 균형을 유지합니다.검색 (Search): 특정 키를 가진 노드를 검색합니다.AVL 트리의 구현.. 2024. 8. 1. [C++ 게임 개발 시리즈] Day 5: 첫 번째 게임 프로젝트: 간단한 2D 게임 만들기 (2) 적 추가 및 충돌 처리이번 단계에서는 적 캐릭터를 추가하고, 플레이어와 적이 충돌했을 때 게임 오버 상태를 구현하겠습니다.적 캐릭터 추가적 캐릭터 정의:main.cpp 파일에 적 캐릭터를 정의합니다.적 캐릭터는 플레이어 캐릭터와 같은 방식으로 사각형 모양으로 만듭니다.// 메인 함수 내부에 추가 (플레이어 캐릭터 정의 아래)sf::RectangleShape enemy(sf::Vector2f(50.0f, 50.0f));enemy.setFillColor(sf::Color::Red);enemy.setPosition(200.0f, 150.0f); // 임의의 위치에 배치적 캐릭터 이동:간단한 AI를 사용하여 적이 플레이어를 따라다니도록 만듭니다.적의 속도를 정의하고, 매 프레임마다 플레이어의 위치를 향해 이동합.. 2024. 8. 1. [C++ 임베디드 시스템 프로그래밍 시리즈] Day 5: GPIO 제어 기초 GPIO 제어 기초임베디드 시스템에서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GPIO 핀을 통해 다양한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GPIO 핀의 다양한 설정과 제어 방법을 학습하겠습니다.1. GPIO 핀 모드 설정GPIO 핀은 입력(Input), 출력(Output), 풀업(Pull-up), 풀다운(Pull-down) 모드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입력 모드 (Input Mode)입력 모드는 외부 신호를 읽는 데 사용됩니다. 버튼이나 센서의 상태를 읽을 때 사용됩니다.pinMode(pin, INPUT); // 핀을 입력 모드로 설정 출력 모드 (Output Mode)출력 모드는 외부 장치로 신호를 보내는 데 사용됩니다. LED나 모터.. 2024. 8. 1. [C++ 고급 프로그래밍과 응용 프로젝트 시리즈] Day 6: constexpr과 상수 표현식 C++11부터 도입된 constexpr 키워드는 컴파일 시간에 평가될 수 있는 상수 표현식을 정의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프로그램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유용합니다. 오늘은 constexpr의 사용법과 상수 표현식에 대해 자세히 학습하겠습니다.constexpr (상수 표현식)constexpr의 기본 사용법constexpr 키워드는 변수, 함수, 생성자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stexpr로 선언된 변수는 반드시 컴파일 시간에 값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본 예제#include constexpr int square(int x) { return x * x;}int main() { constexpr int result = square(5); std::cout 이 예제에서 .. 2024. 8. 1. [C++ 마스터] Day 6: 반복문 (for, while, do-while) 반복문 (Loops)반복문은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동안 코드 블록을 반복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C++에는 for, while, do-while 반복문이 있습니다. 1. for 문for 문은 초기화, 조건 검사, 증감식으로 구성된 반복문입니다.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for (int i = 0; i 위 코드에서 i는 0부터 시작하여 4까지 1씩 증가하며 반복됩니다. 2. while 문while 문은 조건이 참인 동안 코드를 반복 실행합니다. 조건이 거짓이 되면 반복이 종료됩니다.int i = 0;while (i 위 코드에서 i는 0부터 시작하여 5 미만일 때까지 1씩 증가하며 반복됩니다. 3. do-while 문do-while 문은 최소 한 번 실행한 후 조건이 참인 동안 반복.. 2024. 8. 1. [C++ 성능 최적화 및 고급 테크닉] Day 6: 불필요한 복사 방지 (copy elision) 불필요한 복사란?불필요한 복사는 객체를 복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버헤드입니다. 이는 성능 저하와 메모리 사용 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C++에서는 이러한 불필요한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을 제공합니다. 불필요한 복사 방지 기법1. RVO(Return Value Optimization)와 NRVO(Named Return Value Optimization)RVO와 NRVO는 컴파일러가 반환값을 최적화하여 불필요한 복사를 방지하는 기법입니다. 예제 코드#include class MyClass {public: MyClass() { std::cout 위 코드는 MyClass 객체를 반환할 때 RVO와 NRVO가 적용되어 불필요한 복사를 방지합니다. 2. 이동 시멘틱스 (Move.. 2024. 8. 1. [C++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Day 6: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초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초네트워크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의한 것입니다. 프로토콜은 데이터의 형식, 전송 방식, 오류 처리 등을 규정합니다. 네트워크 통신의 대부분은 여러 프로토콜의 조합으로 이루어집니다.OSI 7계층 모델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눈 모델입니다. 각 계층은 특정한 기능을 담당하며,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합니다.물리 계층 (Physical Layer):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예: 케이블, 전파)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인접한 네트워크 노드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예: Ethernet, Wi-Fi)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 2024. 8. 1. [C++로 배우는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Day 6: 트리의 기본 개념 트리 (Tree)트리는 계층적 자료구조로, 노드(Node)와 간선(Edge)으로 구성됩니다. 트리는 하나의 루트(Root) 노드를 가지며, 각 노드는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트리는 사이클이 없는 비순환 그래프입니다.트리의 용어:루트 노드 (Root Node): 트리의 최상위 노드입니다.부모 노드 (Parent Node): 특정 노드의 바로 위에 있는 노드입니다.자식 노드 (Child Node): 특정 노드의 바로 아래에 있는 노드입니다.리프 노드 (Leaf Node): 자식 노드가 없는 노드입니다.서브트리 (Subtree): 노드와 그 자손 노드들로 이루어진 트리의 부분 집합입니다.높이 (Height): 루트 노드에서 리프 노드까지의 최대 경로 길이입니다.이진 트리 (Binary Tree)이진 .. 2024. 8. 1.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