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CCP] 자료구조 - 집합 1. 이론- 집합(set): 순서와 중복이 없는 원소를 갖는 자료구조- 집합 종류: 유한집합, 무한집합, 공집합, 상호배타적 집합- 상호배타적 집합: 교집합이 없는 집합 관계- 상호배타적 집합 활용분야: 이미지 분할, 도로네트워크 교차로, 최소신장트리의 사이클 확인, 게임개발시 물체 충돌 문제, 클러스터링 방지- 집합의 연산: 합치기, 탐색- 집합 표현: 배열을 활용한 트리 사용. 배열의 인덱스는 자신, 배열값은 부모 노드를 의미. 루트노드는 인덱스와 값이 동일- 루트 노드의 개수는 집합의 개수- Union-Find 알고리즘: union(합치기), find(탐색).- find 연산: 특정 노드의 루트 노드가 무엇인지 탐색하는 방법. 특정 노드가 같은 집합인지 확인. 재귀로 구현+) find 연산 비용은 .. 2024. 12. 14.
[Python] 자료구조: 리스트, 딕셔너리, 튜플, 셋 1. 리스트1.1 리스트란?- 리스트는 값들의 묶음 1.2 메서드# 리스트 생성data = list()data = []# 리스트 초기화data = [val1, ...]data = [val1] * ndata = [i for i in range(n)]# 값 확인data[index]# 값 변경data[index] = val# 값 추가:data.append(val)# 값 추가: 리스트 괄호 해제 후 결합data.extend(val)# 값 삭제del data[index]# 값 제거data.remove(val)2. 딕셔너리2.1 딕셔너리란?- 키 중복 불가- 키와 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들의 집합2.2 메서드 # 딕셔너리 생성data = dict()data = {}# 딕셔너리 초기화data = {"key1": .. 2024. 8. 13.
[C++ 마스터] Day 21: STL 맵과 셋 STL 맵 (map)맵은 키-값 쌍을 저장하는 연관 컨테이너로, 키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정렬됩니다. 맵은 키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1. 맵 초기화와 기본 연산맵을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방법:#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main() { map m; // 요소 추가 m["Alice"] = 30; m["Bob"] = 25; m["Charlie"] = 35; // 요소 출력 for (map::iterator it = m.begin(); it != m.end(); ++it) { cout first second ::iterator it = m.find("Bob"); if (it != m.end()) { .. 2024. 8.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