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고리즘] 7. 그래프 탐색 Index 1. 스택과 큐 2. 재귀 3. 유클리드 호제법 4. DFS 5. BFS 6. 추천 문제 7. 참고자료- Search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으로 DFS/BFS가 있음 1. 스택과 큐Stack- FILO(First In Last Out)의 자료구조- 입구와 출구가 동일stack = []# 삽입stack.append(val)# 삭제stack.pop()# 최상단 원소 확인print(stack[-1])Queue- FIFO(First In First Out)의 자료구조- 입구와 출구가 양쪽으로 나있는 터널 형태queue = []# 삽입queue.append(val)# 삭제queue.pop(0)# 최하단/최상단 원소 확인queue[0]queue[-1.. 2024. 7. 19. [목차] 자료구조 1. 배열(Array)1.1 배열 정의1.2 배열 ADT1.3 프로그램 언어별 메서드2. 연결리스트(Linked List)2.1 연결리스트 정의2.2 연결리스트 종류: Singly Linked List, Doubly Linked List2.3 연결리스트 ADT2.4 연결리스트 구현2.5 프로그램 언어별 메서드3. 스택(Stack)3.1 스택 정의3.2 스택 ADT3.3 스택 구현3.4 프로그램 언어별 메서드4. 큐(Queue)4.1 큐 정의4.2 큐 ADT4.3 큐 구현4.4 프로그램 언어별 메서드5. 덱(Deque)5.1 덱 정의5.2 덱 ADT5.3 덱 구현5.4 프로그램 언어별 메서드6. 해시(Hash)6.1 해시 정의6.2 해시 ADT6.3 해시 구현6.4 프로그램 언어별 메서드7. 트리(Tree.. 2024. 7. 1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