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테스트/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Python)

[알고리즘] 9. 기타 그래프 이론

by cogito21_cpp 2024. 7. 20.
반응형
 Index
 1. 서로소 집합 자료구조
 2. 서로소 집합을 활용한 사이클 판별법
 3. 최소 신장 트리(크루스칼 알고리즘)
 4. 위상 정렬
 5. 추천 문제 
 6. 참고자료

1. 서로소 집합 자료구조

Disjoint Sets

- 공통 원소가 없는 두 집합

 

서로소 집합 자료구조(= Union Find)

- 서로소 부분 집합들로 나누어진 원소들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자료구조

- 두 종류의 연산을 지원

- - Union: 두 개의 원소가 포함된 집합을 하나의 집합으로 합치는 연산

- - Find: 특정한 원소가 속한 집합이 어떤 집합인지

- 연결성을 통해 집합의 형태를 확인

 

(동작 과정)

1) Union 연산을 확인하여, 서로 연결된 두 노드 A, B를 확인

  - A와 B의 루크 노드 A', B'를 각각 찾기

  - A'를 B'의 부모 노드로 설정

2) 모든 합집합(Union) 연산을 처리할 때까지 1번의 과정을 반복

 

(연결성)

- 기본적인 형태의 서로소 집합 자료구조에서는 루트 노드에 즉시 접근 불가(부모 테이블을 계속 확인하며 거슬러 올라가야함)

 

(기본 구현)

def find_parent(parent, x):
  if parent[x] != x:
    retuurn find_parent(parent, parent[x])
  else:
    return x
    
def union(parent, a, b):
  a = find_parent(parent, a)
  b = find_parent(parent, b)
  if a < b:
    parent[b] = a
  else:
    parent[a] = b
    
v, e = map(int, input().split())
parent = [0] * (v+1)

for i in range(1, v+1):
  parent[i] = i
  
for i in range(e)::
  a, b = map(int, input().split())
  union(parent, a, b)

 

(개선하여 구현)

- Union 연산이 편향되게 이루어지는 경우 Find 함수가 비효율적으로 동작(최악: O(V)

- Find 함수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Path Compression을 이용(Find 함수를 재귀적으로 호출한 뒤 부모 테이블 값을 바로 갱신)

- 모든 Union 함수를 처리한 후 각 원소에 대하여 Find 함수를 수행하면 시간 복잡도가 개선

def find_parent(parent,x):
  if parent[x] != x:
    parent[x] = find_parent(parent, parent[x])
  else:
    return parent[x]

 

2. 서로소 집합을 위한 사이클 판별법

사이클 판별

- 무방향 그래프 내에서의 사이클 반별시 서로소 집합을 사용 가능

- 방향 그래프에서 사이클 여부는 DFS를 이용하여 판별

 

(서로소 집합으로 사이클 판별 알고리즘)

1) 각 간선을 하나씩 확인하며 두 노드의 루트 노드를 확인

- 루트 노드가 서로 다르다면 두 노드에 대하여 Union 연산을 수행

- 루트 노드가 서로 같다면 Cycle이 발생한 것

2) 그래프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간선에 대하여 1번을 반복

def find_parent(parent, x)
    
def union(parent, a, b):
    
v, e = map(int, input().split())
parent = [0] * (v+1)

for i in range(1, v+1):
  parent[i] = i
  
cycle = False

for i in range(e):
  a, b = map(int, input().split())
  if find_parent(parent, a) == find_parent(parent,b):
    cycle = True
    break
  else:
    union(parent, a, b)
    
if cycle:
  print("Cycle")
else:
  print("No Cycle")

 

3.  최소 신장 트리(크루스칼  알고리즘)

신장 트리

- 그래프에서 모든 노드를 포함하면서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 그래프

- 모든 노드가 포함되어 서로 연결되면서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조건은 트리의 조건

 

최소 신장 트리

- 최소한의 비용으로 구성되는 신장 트리

 

크루스칼 알고리즘

-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분류되는 최소 신장 트리

- 간선의 개수가 E개일 때, O(ElogE)

 

(동작 과정)

1) 간선 데이터를 비용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정렬

2) 간선을 하나씩 확인하며 현재의 간선이 사이클을 발생시키는지 확인

- 사이클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최소 신장 트리에 포함

- 사이클이 발생하는 경우 최소 신장 트리에 포함시키지 않음

3) 모든 간선에 대하여 2번 반복

 

def find_parent(parent, x)
    
def union(parent, a, b):
    
v, e = map(int, input().split())
parent = [0] * (v+1)

edges = []
result = 0

for i in range(1, v+1):
  parent[i] = i
  
for _ in range(e):
  a, b, cost = map(int, input().split())
  edges.append((cost, a, b))
  
edges.sort()

for edge in edges:
  cost, a, b, = edge
  if find_parent(parent, 1) != find_parent(parent, b):
    union(parent, a, b)
    result += cost

print(cost)

 

4.  위상 정렬

위상 정렬

- 사이클이 없는 방향 그래프(DAG)의 모든 노드를 방향성에 거스르지 않도록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

- 여러가지 답이 존재 할 수 있음

- 모든 원소를 방문하기 전에 큐가 빈다면 사이클이 존재

- DFS를 이용하여 위상 정렬 수행 가능

- 차례대로 모든 노드를 확인하며 각 노드에서 나가는 간선을 차례대로 제거: O(V+E)

 

집입 차수 / 진출 차수

- 집입 차수(Indegree): 특정한 노드로 들어오는 간선의 개수

- 진출 차수(Outdegree): 특정한 노드에서 나가는 간선의 개수

 

(큐를 이용한 동작 과정)

1) 진입 차수가 0인 모든 노드를 큐에 넣음

2) 큐가 빌 때까지 다음 과정을 반복

- 큐에서 원소를 꺼내 해당 노드에서 나가는 간선을 그래프에서 제거

- 새롭게 진입차수가 0이 된 노드를 큐에 넣음

=> 각 노드가 큐에 들어온 순서가 위상 정렬을 수행한 결과와 동일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v, e = map(int, input().split())
indegree =

 

5. 추천 문제

크루스칼 알고리즘

- 섬 연결하기(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61)

- 네크워크 연결(https://www.acmicpc.net/problem/1922)

 

위상 정렬

- 순위(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9191)

- 동굴 탐험(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7260)

- 줄 세우기(https://www.acmicpc.net/problem/2252)

- 최종 순위(https://www.acmicpc.net/problem/3665)

- 문제집(https://www.acmicpc.net/problem/1766)


참고 자료

[Youtube: 동빈나의 이코데 2021(기타 그래프 이론)]
https://www.youtube.com/watch?v=aOhhNFTIeFI&list=PLRx0vPvlEmdAghTr5mXQxGpHjWqSz0dgC&index=9

 

반응형